"Loading..."

산란계 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작년 4분기 산란계 사육마릿수 4.1% ↑…노계 도태 감소 영향

작성일2024-01-24
작성자대한산란계협회

100

attach_file 농민신문.png
통계청, ‘2023년 4분기 가축동향조사’ 
달걀 가격 상승으로 생산 유인 커진 탓
소·돼지는 소폭 하락


지난해 4분기 달걀 가격이 오르자 산란계 사육마릿수가 전년 동기 대비 4.1%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 15일 오후 서울 광진구의 한 무인달걀매점에서 달걀이 진열돼 있다.연합뉴스

[농민신문 이연경 기자]지난해 4분기 산란계 사육 마릿수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등으로 달걀 값이 오르자 농가들이 산란노계를 덜 도태했기 때문으로 풀인된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023년 4분기 가축동향조사’에 따르면 산란계 사육마릿수는 7720만2000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4.1%(301만4000마리) 증가했다. 3개월 미만 마릿수는 줄었으나, 6개월 이상 마릿수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달걀 가격 상승으로 생산 유인이 커지면서 산란노계 도태 물량이 감소한 데 따른 것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육용계 사육마릿수는 9411만5000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6.1%(540만2000마리) 증가했다. 토종닭 마릿수는 감소했지만 육용종계 성계 마릿수 증가와 종란 수입으로 육계 마릿수 증가한 영향이다. 
오리는 653만8000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9.1%(54만4000마리) 늘었다. 산란종오리 마릿수가 늘어 육용오리 마릿수가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조사 당시 겨울철 유행하는 조류 인플루엔자(AI)가 발병하지 않은 데 따른 기저효과도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023년 4분기 산란계·육용계·오리 등 가금류 사육마릿수는 증가하고, 한우·젖소·돼지는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

반면 소와 돼지의 마릿수는 감소했다. 한우·육우 사육 마릿수는 362만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2.9%(10만6000마리) 감소했다. 한우 가격 하락으로 번식 의향이 줄고 암소 도축이 늘면서 1세 미만 마릿수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젖소 사육마릿수는 38만7000마리로 나타나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3000마리(0.8%) 줄었다. 경산우 도축마릿수 감소로 2세 이상 마릿수는 증가했으나, 송아지 생산 감소로 1세 미만 마릿수가 감소했다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돼지는 1108만9000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3만5000마리(0.3%) 줄었다. 모돈 생산성 증가로 2개월 미만 마릿수는 증가했으나 비육돈 도축 마릿수 증가로 4∼6개월 미만 마릿수 감소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출처: 농민신문 (nongmin.com)
전화걸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대한산란계협회 홈페이지 회원에게 무차별적으로 보내지는 메일을 차단하기 위해,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