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산란계 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인터뷰] “환경친화농장 인증 확대…축산물 마크도 추진”

작성일2024-01-08
작성자대한산란계협회

100

[인터뷰] 문홍길 축산환경관리원장 
가축 관리·자원순환 등 평가 
제도개선으로 진입장벽 낮춰 
청결유지 비롯한 기본 충실히 
환경 개선 통해 생산성 높여야



[농민신문 박하늘 기자]


최근 들어 국내 축산업계에도 탄소중립·친환경에 대한 요구가 거세다. 축산환경관리원(원장 문홍길)은 이러한 축산 환경과 관련한 문제 해결책을 찾고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구현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문홍길 원장에게서 새해 중점 추진 사항을 들어봤다.

-환경친화축산농장 제도를 설명해달라.
▶환경친화축산농장은 2007년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친환경적 축사관리와 가축분뇨 적정관리에 이바지하는 농장을 지정하고자 도입된 제도다. 현재 전국 축산농가 중 17곳이 인증을 받았다. 모범농가를 널리 알림으로써 그렇지 않은 농장들도 환경을 개선하도록 유도하려는 취지다.
-인증농가가 되려면.
▶엄격한 평가를 거쳐야 한다. 우선 사육밀도와 소독·방역시설, 음수 관리 등 가축을 안전하게 관리하는지를 본다. 축산 냄새를 방지하고 분뇨 유실을 막는 등 환경보전 기준을 준수하는 것도 살핀다. 이밖에 자원순환 기준을 준수하고 조경수 식재와 같은 경관 조화를 추구하는지도 확인한다.
-진입장벽이 너무 높은 것 아니느냐는 의견도 있다.
▶엄격한 기준을 마련한 것은 일종의 지향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다. 그러나 과도하게 부담이 되는 항목은 제도 개선을 통해 장벽을 낮추고 있다. 환경친화축산농장 인증을 받은 농장은 정부사업 지원금을 20% 더 받을 수 있고 대형 유통업체와 거래할 때도 지원받는다. 새해엔 해당 인증농가에서 공급하는 축산물에 인증마크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적지 않은 축산농가들이 여전히 분뇨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여건이 허락한다면 관련 시설에 적극적으로 투자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못한 상황이라면 축사 내·외부 청결을 유지하고 적정 사육밀도를 준수하는 등 할 수 있는 것부터 제대로 실천하는 것이 우선 필요하다. 미생물 급이·살포, 신속한 분뇨 제거 등도 기본이다. 친환경농산물을 섭취하기 위해선 친환경액비 등에서 나오는 일정 수준의 냄새는 감내할 수 있다는 사회적 합의도 이끌어내야 한다.
-축산농가에 당부하고 싶은 점이 있다면.
▶‘자식에게 농장과 악취를 함께 물려줄 수 없다’는 생각으로 축산 환경 개선에 힘써주시길 부탁드린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더 해주셨으면 좋겠다. 사육 환경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만성 소모성 질병이 줄어든다. 이는 곧 생산성 향상으로 직결된다.

출처: 농민신문(nongmin.com)
전화걸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대한산란계협회 홈페이지 회원에게 무차별적으로 보내지는 메일을 차단하기 위해,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