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옥주 의원, 농경연 소매유통채널 판매 데이터 분석
"물가 잡는다며 산지·도매시장 때려잡기 효과 의문"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5일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들이 계란을 살펴보고 있다. 2025.09.05. jhope@newsis.com
[세종=뉴시스]임소현 기자 = 대형마트가 지난해 말부터 계란가격 상승을 주도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그동안 산지 생산자들에 치우친 물가당국의 계란가격 담합 조사가 대형마트에 까지 확대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소매유통 유형별 계란가격은 편의점(339원), 체인슈퍼(337원), 대형마트(309원), 개인슈퍼(297원) 농협하나로마트(285원) 순으로 높았다.
농협하나로마트의 계란가격이 가장 저렴했지만 시장점유율은 17%에 머물렀다. 시장점유율이 31%와 35%에 달하는 대형마트와 개인슈퍼를 견제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지난해에 비해 올 1분기 오프라인 전체 계란 매출액과 판매량은 3.9%와 2.2% 증가했다. 반면 대형마트 계란 판매량은 오히려 6.3% 감소했지만 매출액은 3.8% 늘었다.
올 4월에도 전년보다 오프라인 계란 매출액과 판매량은 각각 9.9%와 0.8% 증가했다. 같은 기간 대형마트 계란 판매량은 9.7% 줄었지만 매출액은 7.1% 상승했다. 올 1월부터 4월까지 대형마트가 계란가격 상승세를 이끈 셈이다.
이에 반해 계란 산지가격은 지난해 1분기 162원에서 부터 4분기까지 165원 오르는 데에 그쳤다. 올해 1분기에는 오히려 157원으로 떨어졌다. 이어 2분기 계란 산지가격은 184원으로 급등했다.
송옥주 의원은 "올 1월부터 4월까지 할당관세 미적용으로 인해 계란가공품 수입량이 원란기준 41% 줄었다"며 "조류독감 확산에 따른 살처분은 지난해 10월부터 올 4월까지 80%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반해 대형마트의 계란가격 오름세는 지난해 말부터 두드러지기 시작했다.
대형마트의 계란 가격은 지난해 1분기 260원에서 3분기에 265원으로 오르는 데에 그쳤다. 같은 기간 개인슈퍼 계란가격은 276원~277원, 오프라인 계란 평균 가격은 274원~276원이었다. 지난해 4분기 계란 산지가격은 3분기 165원에서 157원으로 급락했다.
하지만 지난해 3분기 265원에 머물렀던 대형마트 계란가격은 4분기에 개인슈퍼 계란가격과 동일한 279원으로 급등했다. 당시에 대형마트는 전년보다 5.5% 많은 계란 2억8665만개를 팔았다.
이어 올해 1분기 대형마트 계란가격은 281원으로 치솟았다. 같은 기간 개인슈퍼 계란가격 275원과 오프라인 평균가격인 280원을 웃돌았다. 대형마트 계란가격은 2분기 또 다시 305원으로 뛰어올랐다.
송 의원은 "독과점 유통대기업들이 계란가격 상승세를 이끌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음에도 물가당국이 애꿎은 산란계협회를 희생양 삼은 것은 아닌지 되돌아 보게한다"며 "성과없는 산지 생산자들을 쥐어짜기보다 대도시의 독과점 소매유통을 견제할 수 있는 정책 수단을 마련하는데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농협이 역마진을 감수하면서 계란 가격을 낮췄지만 독과점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이었던 만큼 농협 유통사업의 대도시 시장지배력 확대가 급하다"고 지적했다.
[화성=뉴시스] 송옥주 의원(사진=송옥주 의원실 제공)2024.03.18.photo@newsis.com
대한산란계협회 홈페이지 회원에게 무차별적으로 보내지는 메일을 차단하기 위해,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