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산란계 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브라질 병아리·달걀 수입 딜레마

작성일2025-04-17
작성자대한산란계협회

100

정부, 초생추·종란 등 수입 허용 
브라질, AI 지역화 꾸준히 요청 

“닭·오리고기 자급률 위축” 우려 
“수입선 대체 위해 필요” 입장도
0a02ce9a-95d5-1ca0-8196-3275271c1edd 복사
이미지투데이

[농민신문 이미쁨 기자]
정부가 브라질산 초생추·종란·식품용란을 국내로 들여온다. 초생추는 갓 부화한 병아리이고 종란은 부화용 달걀을 말한다. 식품용란은 신선달걀이다. 세계 최대 닭고기 수출국인 브라질의 신규 가금산물이 반입되면서 생산자단체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딜레마에 처하게 됐다. 국제통상분야에서 ‘지역화’ 개념이 특정 품목에만 적용하는 것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상황에서 자칫 국가간 통상문제로 비화할 조짐도 보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0일 ‘지정검역물의 수입금지지역’ 고시 개정안을 행정 예고했다. 3월 구제역이 발생한 헝가리·슬로바키아를 돼지고기 수입허용지역에서 제외하는 것과 브라질을 초생추·종란·식품용란 수입허용지역에 포함하는 것이 골자다.

주목되는 것은 브라질 부분이다. 농식품부는 3월26일 브라질산 초생추·종란·식품용란에 수입위험평가를 수행한 결과 수입을 허용키로 했다고 밝혔다. 고시 개정안은 이에 대한 후속 조치다.

그 배경엔 미국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로 미국산 원종계가 국내로 원활하게 반입되지 못했다는 데 있다. 원종계는 육용과 산란용으로 나뉘는데 우리나라는 두 품종 모두 수입에 의존한다. 점유율 1위 국가는 미국이다.

그러나 미국발 AI 사태로 원종계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자 정부와 업계는 육용에 대해선 올 1월 수입선을 미국에서 영국으로 돌렸다. 2월 영국산 원종계 수입규모는 5만8000마리로 추산된다.

하지만 산란용 원종계는 대체 수입 대상국을 찾는 데 실패하면서 브라질산 원종계를 들여와야 한다는 목소리가 생산자단체에서 제기됐다. 가금생산자단체협의회는 지난해 9월 성명을 내고 “국내 가금산업의 안정화를 위해 브라질의 가금·종란·초생추 검역위생조건 체결을 즉각 추진하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협의회엔 대한양계협회·한국육계협회·한국토종닭협회·한국오리협회·전국육계사육농가협의회 등 5곳이 가입돼 있다. 농식품부의 고시 개정 추진은 이러한 맥락에 따른 것이다.
문제는 브라질이 2023년 5월부터 우리 정부에 고병원성 AI 지역화를 요청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역화는 가축질병·병해충 등의 발생 범위를 국가가 아닌 지역 개념으로 보는 것을 말한다. 브라질산 닭고기는 지난해 기준 국내 수입량의 85%를 차지했다. 생산자단체가 산란용 원종계에 대해선 브라질산 도입을 주장하면서, 브라질산 닭고기에 대해선 지역화 적용을 반대하는 배경이다.

양계협회·육계협회·토종닭협회·오리협회 등 4곳은 7일 긴급 회의를 열어 “국내 최대 닭고기 수입 대상국인 브라질에 AI 지역화를 허용한다면 국내 닭고기·오리고기 자급률이 위축될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그러면서 8일 브라질에 대한 AI 지역화 적용 반대 의견을 농식품부에 제출했다.

정부는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농식품부는 생산자단체 요구로 산란용 원종계를 브라질에서 들여오려고 위생조건 등을 타진했다. 그런데 브라질 정부가 자국에 AI 지역화를 적용해줄 것을 압박했다. 정부가 이에 대한 의견을 생산자단체에 묻자 대한산란계협회는 지역화 적용에 찬성, 양계협회는 반대를 내비친 것으로 전해졌다. 육계·토종닭·오리협회는 관망세를 취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농업계 관계자는 “국내 가금관련 생산자단체들의 엇갈린 이해관계로 통상정책이 갈팡질팡하는 모양새”라고 비판했다.

출처: 농민신문
전화걸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대한산란계협회 홈페이지 회원에게 무차별적으로 보내지는 메일을 차단하기 위해,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